세종시, 로컬푸드운동 2단계 사업 본격 추진

하선주 기자 | 기사입력 2020/01/30 [10:52]

세종시, 로컬푸드운동 2단계 사업 본격 추진

하선주 기자 | 입력 : 2020/01/30 [10:52]

  © 한국시사저널



- 공공급식센터 개장, 로컬푸드직매장 3‧4호점 복합시설로 -
- 로컬푸드포럼 개최, 농촌테마공원 도도리파크 6월 착공 -
- 안전농산물(친환경·GAP) 재배, 전체 면적의 25%까지 확대 -


[한국시사저널=하선주 기자] “올해는 4차산업과 농업을 연계한 스마트한 농정 틀을 구축하고, 시민이 감동할 수 있는 소확행 사업을 확산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

 

조규표 농업정책 보좌관은 30일 오전 정음실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지난해 로컬푸드 직매장 누적 매출 800억원 달성, 로컬푸드 운동 주민생활혁신사례 선정, 지역발전투자협약 시범사업 선정 등의 성과로 시민과 함께 성장하는 미래 세종농업․농촌 기반 마련에 중점을 두고 노력해 왔다“고 전했다.


그는 올해 소확행 사업 확산을 위해 공공급식지원센터 가동 등 로컬푸드운동 2단계 실현과 도시민과 함께 하는 농정 실천, 시민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농축산물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겠다“고 말했다.


먼저 그는 공공급식지원센터 가동 등 로컬푸드운동 2단계 실현을 위해 5월 준공하는 공공급식지원센터(금남면 집현리 일원)를 시험 가동 후 9월(예정)부터 본격 운영하여 공공급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생산단계 안전성 검사를 확대(270→300건)하고, 로컬푸드 직매장 3호점은 당초 예정지인 새롬동에 직매장과 연계한 생활밀착형 복합시설로 건립하겠며, 오는 4월부터 ‘찾아가는 로컬푸드 직매장’을 운영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제주도, 해양수산부 등과 협력하여 로컬푸드 직매장에서 수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북부권(전의·소정·전동) 로컬푸드 농가를 위한 수거집하장 확대하고 세종형 로컬푸드 운동의 사회적 가치를 확산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어 그는 “도시민과 함께 하는 농정 실천을 위해 올해 도시농업공동체(3개) 육성과 농촌테마공원 ‘도도리파크’를  6월 착공하는 등 6차산업 육성 노력, 양봉 체험장(1개소, 150명)과 학생 승마장(초중고생 1천여명) 등 운영”을 약속했다.


조 보좌관은 시민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농축산물 지속 생산을 위해 안전농산물(GAP)의 생산을 전체 농산물 생산면적의 25%(1,650ha)까지 확대(지난해 22%, 1,527ha)하고, 깨끗한 농장 인증 확대하는(42호→60호, ‘22년 100호) 등 지속 가능한 경축순환농업 기반 마련, 아프리카돼지열병·AI 등에 대비해 선제적인 방역시스템을 운용하고, 축산물의 안전관리와 품질 향상을 위해 명예 축산물위생감시원(11명) 활용하는 등 생산부터 유통까지 촘촘한 축산물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을 약속했다.


그는 “4차산업 스마트 농업 등 미래 세종 농정틀 구축을 위해  그동안 부서별로 산발적으로 지원하던 농업보조금을 한눈에 체크할 수 있도록 농식품부 농업경영체 D/B와 연계한 「세종형 스마트 농정관리시스템」을 상반기까지 구축해 농림축산보조금 관련 부서와 읍면에 보급해 보조금의 중복·누락·편중지원 등의 문제점을 보완해 형평성 있는 지원을 가능하게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시의 성장을 고려해 생산 중심의 농업정책·조직을 ‘농촌형’에서 ‘도농복합형+수요자맞춤형’으로 변모시켜 도시형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처음 실시하는 ‘공익직접지불제’의 안착을 위해 농업인 설명회 등을 여는 한편, 고령화 등으로 각종 농업 보조금 신청 등에 어려움을 겪는 농업인들을 돕기 위해 전국 최초로 ‘마을농업행정 도우미’를 도입하겠다”고 했다.


조 보좌관은 “올 한해 생산자와 소비자간 교류와 소통을 강화하고 도농이 상생발전할 수 있도록 시민 맞춤형 농정을 펼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조 보좌관은 농민수당과 관련 기자 질의에 “농민수당 검토와 관련해 경영안정지원금을 지원하고 있고, 지난해 11월에 쌀보전금지급과 앞으로 공익형 직불제가 실행되면 소농들이 정액으로 지원받게되어 있어 이는 농민수당으로 인지하고 있어 농민수당에 대해서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하선주 기자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